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3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연습 > 연습문제 > 시저 암호 🔒 해답) def solution(s, n): def convert(char): if char == " ": return " " elif ord(char) 2020. 6. 8.
[네트워크📶] SMTP란 / SMTP Format / SMTP 명령어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이름 그대로 email 전송에 직접적으로 쓰이는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입니다. simple 함을 중요시하며 만들어졌으며 HTTP, SIP 같은 여러 프로토콜들의 디자인을 상속합니다. 전송계층 프로토콜로는 TCP를 통해 전달합니다. 실제 우체국에서 편지를 보내는 모습과 매우 유사합니다. 편지를 보낼때는 우체국에서 관리하는 우편통이나 우체국에 직접 가서 쓰죠. (요즘엔 그럴일이 없긴 합니다만) 편지를 받을 때는 그냥 집앞 우편함에 도착해있는 편지를 확인하면 됩니다. SMTP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메일을 주고받을 때 mail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Mail 서버는 SMTP 을 통해 서로 메일을 주고 받습니다. 예를들어 내 메일 : abc@.. 2020. 6. 2.
[네트워크📶] DHCP 패킷 분석/ DHCP 특징 DHCP 패킷 Format Op Code : 1 or 2 1은 request, 2는 reply를 의미합니다. Hardware Type : 어떤 link layer인지를 의미합니다. 대부분 Ethernet이라고 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IPv6은 아에 다른 format의 DHCPv6을 사용하기 때문) Hops : DHCP relay 의 hops 를 의미합니다. (라우터의 hop이 아님!) Transaction Identifier : UDP는 순서대로 차곡차곡 전달하는 프로토콜이 아니죠! 따라서 request와 reply의 짝을 맞춰줄 수 있는 transaction identifier가 필요합니다. * DHCP relay란? - DHCP는 RARP와 마찬가지로 broadcast 방식으로 request를 합.. 2020. 6. 1.
[네트워크📶] DHCP 역사 / RARP 프로토콜/ BOOTP 프로토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는 동적으로 Host IP 를 결정할 때 이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동적으로 Host IP 를 결정한다는 것은 '자동으로 IP를 설정해준다' 이정도로 생각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DHCP가 왜 필요할까? 우리가 컴퓨터를 끄거나 네트워크 연결이 끊겼다가 다시 인터넷을 쓸 때, 직접 다시 IP를 입력해주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컴퓨터가 알아서 해줍니다! 😎 심지어 네트워크 연결을 처음 시도할 떄도 컴퓨터가 알아서 결정해줍니다. 이러한 IP는 어디서 오고 누가 해주는 걸까요?? ✨DHCP 를 통해 가능합니다!✨ RARP의 등장 1990년도에는 현대만큼 컴퓨터가 발전되지 못했고 disk 의 가격이 훨씬 비쌌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가.. 2020. 6. 1.
[네트워크📶] UDP pseudo-header(수도헤더) 1부 : UDP란/ UDP 특징 https://programming119.tistory.com/148 [네트워크📶/] UDP 란 / UDP 장단점 / UDP 특징 UDP(User Datagram Protocol) UDP는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일종입니다. 주로 TCP 와 비교가 많이 되는데, TCP과 완벽주의자 같은 느낌이라면, UDP는 대충 일처리만 , 하지만 매우.. programming119.tistory.com UDP CheckSum 앞서 1부에서 말했듯이, UDP에서 Checksum은 선택적 사용입니다. checksum 을 쓰지 않는다면, checksum 부분은 전부 0으로 체웁니다. * checksum 실제 계산값이 0이라면 ??? 2의 보수 계산법에.. 2020. 5. 30.
[네트워크📶/] UDP 란 / UDP 장단점 / UDP 특징 UDP(User Datagram Protocol) UDP는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일종입니다. 주로 TCP 와 비교가 많이 되는데, TCP과 완벽주의자 같은 느낌이라면, UDP는 대충 일처리만 , 하지만 매우 신속하게 처리하는 타입 느낌입니다. 당연히 각기 장단점이 있겠죠? UDP가 하지 않는 것 = TCP는 하는 것. 연결 셋업 / 종료 (Connection setup/teardown) 수신 완료했다고 알리기 (Acknoledgement) 재전송 (Retransmission) Fragmentation 혼잡 제어 (Congestion Control) 순서대로 보내기 (In-order delivery) PMTU discovery UDP는 이 많은 것들을 하지 않습니.. 2020.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