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DB / DBMS / DBS / DB Application 의 차이 / 개념
DB (DataBase) 데이터들의 집합, 모음 자체를 뜻한다. 단순한 모음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잘 정리되어 표준화된 모음을 의미한다.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사용자들이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들을 접근하고 사용하기 위해 쓰이는 시스템이다. DB 자체만을 가지고 데이터를 이용하려면 무척이나 불편하고 힘들것이다. DBMS 에 내장된 질의어들을 통해 사용자들은 DB에 접근할 수 있다. 예) Oracle, Mysql ... 등등 DB Application 데이터베이스가 사용되고 적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생산분야에서는 재고, 주문, 생산 부분에서 DB가 이용될 것이고, 대학교에서는 대학 등록, 학생 관리, 성적들에 DB가 사용된다. 이처럼 데이터베이스가 적용되는 시스템을 ..
2019. 10. 25.
[Quick Sort] Quick sort는 왜 빠를까? (2) : 기대값을 고려한 Quick sort / Quick sort의 Expected running time /
Expected Running Time이란? 만약 동전을 100번 던진다고 치자. 우리는 앞면이 최대 100번 나올 수 있는 것을 당연히 알고 있다. 하지만, 또한 우리는 앞면이 평균 50번 정도가 나올 것도 알고 있다. 50번보다 조금 나올 때도 있을 것이고, 50번보다 많이 나오는 때도 있을 것이지만, 우리는 시행이 거듭될 수록, 50번에 수렴한다는 것을 직감적으로 알고 있다. 이 50이라는 숫자가 이 100번 던지는 시행의 기대값이다. Quick Sort의 경우에도 우리가 정렬을 사용할 때를 적용하려면 최악의 경우가 아닌 이런 기대값 Running Time 이 중요할 것이다! QuickSort 의 Expected Running Time 앞서 말했듯이 input값이 랜덤한 값들로 들어온다고 했을때, ..
2019. 10. 21.
[Quick Sort] Quick sort는 왜 빠를까? (1) : Randomized 된 Quicksort / Quick sort의 Worst running time (최악)
Quick Sort란? 피벗을 중심으로 작은쪽, 큰쪽으로 나누어 정렬하는 방식을 뜻한다. 메모리 소비가 없고 무엇보다 정렬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Quick sort로 이름이 붙여졌다. (* 참고 : https://coderkoo.tistory.com/7) Quick Sort의 시간복잡도 허나 다들 알다시피 Quick Sort의 시간복잡도는 O(n^2) ,Ω(n lgn) 이다. (이는 구글에 검색해보면 자료가 많으니 생략, 아까 링크한 블로그에 자세히 설명이 되어있다!) 최악과 최적 모두 Θ(n lgn) 인 Heap Sort와 Merge Sort 에 비하면 겉보기에는 느릴 수 있어보인다. 그렇다면 왜 Quick Sort는 Quick Sort 인 것일까? Randomized 된 Quicksort의 최악은? 우..
2019. 10. 21.
[MIPS] 명령어 lui / ori
lui란? lui : load upper immediate - upper bit에 immediate값을 load 해주는 연산이다. 예시) lui $s0, 61 : 상위 16비트에 61이란 숫자를 load해준다. ori란? ori : or immediate - immediate값과 or 연산을 해주는 연산이다. 예시) ori $s1, $s0, 1200 : 1200을 2진수로 변환해서 $s0과 or 연산을 한 뒤 $s1에 저장한다.
2019. 10. 20.
[Verilog] 베릴로그 랜덤 값 설정하기 / $random / $urandom
랜덤 값 설정하기 input으로 들어갈 값들을 무작위로 설정해 줄 때 변수의 값을 무작위로 정해줘야할 때 $random 혹은 $urandom 을 이용한다. $random%숫자 : 숫자만큼의 범위 안의 무작위수를 32비트 정수로 반환한다. (signed) $urandom%숫자 : 숫자만큼의 양의 범위 안의 무작위수를 32비트 정수로 반환한다. (unsigned) 예시 reg [31:0] a,b; a=$random%1000; // a = -499~+499 사이의 임의의 정수 b=$urandom%1000; // b = 0~999 사이의 임의의 정수
2019. 10. 18.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연습 > SUM, MAX, MIN > 최솟값 구하기 / MIN() 함수 / AS문
해답) * 날짜 형식의 값은 날짜가 일찍일 수록 값이 적은걸로 취급됩니다. 출처: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https://programmers.co.kr/learn/challenges
2019. 10. 17.